정치개혁과 ‘소수자 되기’의 어려움
정치개혁과 ‘소수자 되기’의 어려움
  • 한림미디어랩 The H
  • 승인 2019.07.15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황석(문화평론가·한림대 교수)
이황석(문화평론가·한림대 교수)

마블의 주인공들은 비상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거듭나거나, 돌연변이 혹은 외계에서 온 존재다. 혼종과 변이 혹은 전이의 과정 중에 얻은 초능력은 그들을 인정투쟁의 장에서 우위에 위치시켰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그들은 실존의 외로움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돌연변이성은 그 능력을 제때에 사용하지 못하면 존재 자체를 부정당하게 된다. 힘이 없으면 철저히 배제되고 밀려날 대상, 말하자면 소수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소수자에 대한 개념이 그때그때 다르다는 점이다. 피라미드의 하부구조를 채우는 이들은 다수지만 그들은 약자이기에 소수자다. 또는 물리법칙을 따르는 가우시안분포에서 과하거나 모자를 경우, 시대에 따라 소수자가 되기도 한다. 과거 중세시대 평민 출신의 신동들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죽임을 당하기 일쑤였다. 불온한 기운으로 가득 찬 이들이기에 마녀사냥의 대상이 됐다. 정규분포의 가장자리에 위치했다는 이유로 배제돼야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시대를 우리는 ‘봉건체제’라 부른다. 

다만 이러한 소수성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사회가 포용하거나 배제하기도 하고 또는 발탁하기도 한다. 시쳇말로 시대를 잘 타고나야 한다. 아니면 시대정신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화 ‘어벤져스’의 헐크가 감마선에 노출돼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괴력의 소유자로만 설정돼 있다면, 그는 청동기시대에나 맞는 영웅이다. 영리하게도 할리우드에서 태어난 헐크는 진화를 거듭, 4차 산업시대에 맞게(?) 뛰어난 지력까지 지니게 된다. 시대의 변화를 감지하고 기존의 자신의 캐릭터에서 탈주를 시도한 인물 슈퍼영웅 헐크, 그가 바로 진짜 소수자다. 

사실 이 글에서 소수자는 단순한 약자가 아니라 철학적 의미로서 일정 덕목을 갖춘 이들을 지칭한다. 범주화되기를 거부하고 새로운 세계로 탈주를 시도하는 이들 말이다. ‘소수자 되기’란 들뢰즈가 만든 개념어다. 소수자 되기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실천을 넘어 일종의 대안을 의미한다. 그의 철학을 ‘생성의 철학’이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의 사유에 따르면 정체된 사회는 생성을 멈춘 세계이기에 영토화된 비극의 공간이다. 비극은 주체를 상실한 자들이 그들 삶이 비극적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기 때문에 더욱 비극적이다. 거짓과 기만으로 실존이 포획되지 않기 위해선 부단히 탈주를 감행해야 한다. 그러나 소수자 되기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마블의 주인공들이 소수자인 동시에 슈퍼영웅으로 설정된 이유다. 

그동안 소수자의 위상에 대한 논의는 정체성을 주장하는 프레임에 갇히기도 했다는 점에서 대안이 되지 못했다. 바로 이 점을 역발상으로 전환한 사유의 방식이 소수자 되기이다. 약자의 약자성을 부각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성을 감내하는 도전과 용기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들뢰즈는 욕망을 긍정함으로써 ‘진·선·미’라는 기존의 범주화된 사유의 영역에서 그 경계를 무너트리고 ‘노마디즘(유목주의)’이라는 실천의 공간을 마련했다. 정체성에 머무르지 않고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시대를 도모하기 위해선 욕망을 긍정하는 진정한 소수자가 돼야 한다. 아웃사이더로 생존하기 위해선 탁월해야만 한다. 

지난주 국회 원내교섭단체 간의 일방적인 합의로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정개특위위원장직에서 내려왔다. 이 시점에서 정의당에게 필요한 것은 내부의 결속이 아니라 연대다. 이를 통해 권력의지와 같은 욕망을 굳건히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마블의 주인공들이 집단을 이뤄 일을 해결하는 것과 같은 이유에서다. 언제든지 그들은 소수자로서 고립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심 의원은 “가장 필요한 것은 선명한 이념보다 정책적으로 더 유능하고 정치적으로 더 책임지는 정당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쉽지 않은 길이겠지만 바로 그게 정답이다. 정체성의 정치를 넘어 진짜 정치개혁을 통해 정당정치를 구현하려면 말이다.

이황석(문화평론가·한림대 교수) - 아시아투데이 7월 3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