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칼럼] 반려인구 1400만 시대, 반려동물 장례시설 확충 필요
[대학생칼럼] 반려인구 1400만 시대, 반려동물 장례시설 확충 필요
  • 한림미디어랩 The H
  • 승인 2023.03.03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전국 최초 반려동물 공공 장묘시설인 임실군 오수 펫 추모공원의 홈페이지 메인화면. 출처=오수 펫 추모공원
사진=전국 최초 반려동물 공공 장묘시설인 임실군 오수 펫 추모공원의 홈페이지 메인화면. 출처=오수 펫 추모공원

한국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인 ‘반려 인구’가 점점 늘어나 1400만명을 돌파했다. 반려 인구가 늘어난 만큼 반려동물 관련 시설이나 서비스도 늘어났고 ‘동물 보호법’과 같은 관련 규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사람들이 한 가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반려동물의 사후 장례 시설 부족 문제이다.

필자는 반려동물과의 생활, 편의에 관한 관심도에 비해 동물 장례 방법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느꼈다. 또한 인터넷 카페에서 반려동물 장례 시설이 주변에 없어 사후 처리를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의 글을 자주 보게 됐다. 해서 이를 해결할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현재 한국에서 하루 최소 1100여 마리의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난다고 한다. 한해로 따지면 43만에서 57만 마리의 동물이 사망하는 셈이다. 그렇다면 이 많은 동물들의 사후 처리는 어떻게 진행됐을까?

조원씨앤아이에서 진행한 ‘한국 반려동물 장례 인식 조사’에서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반려인 중 장례 업체를 이용한 비율은 27.4%에 불과했고 올바른 사체 처리법을 묻는 질문에서는 22.3%는 주변 산에 묻음이라고 답했고 17.8%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장례 방법에 대한 정보 자체도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국내 공공 동물 장례식장은 전북 임실군 한 곳뿐이고 사설 합법 장례식장은 40여곳 밖에 되지 않는다. 이중 서울에 있는 시설은 단 한 곳뿐이라 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다른 지역에 가서 장례를 하는 ‘원정 장례’라는 말이 생길 정도이다. 특히 제주도는 부지 선정 문제로 동물 장례식장 조성이 몇 년간 늦어져 현재까지 장례를 치르려면 비행기나 배를 타고 부산까지 와야 하는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반려동물 기념 공원수가 460곳에 설치돼 있어 공원 내에서 동물을 묻거나 장례식을 할 수 있고 종종 방문하기도 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화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은 비영리 단체와 주립 및 정부에서 관리하는 묘지가 약 600개 정도 설치돼 있고 개개인의 경제적 요건을 고려한 장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나라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공공 동물 장례시설의 필요성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사랑하는 반려동물이 떠났을 때 그 친구의 마지막을 동물병원 의료 폐기물이나 종량제 봉투 처리로 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제는 가족 구성원으로 자리 잡은 반려동물을 위한 장례시설의 수요는 지금보다 더 많아질 것이기에 동물 장례시설이 늘어나야 할 것이다.

황지호 대학생기자

* "지금의 기사는 <뉴스작성기초> 수업의 결과물로 1월 2일 <사이드뷰>에 게재된 바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