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정보 속 책읽기는 내가 원하는 세상에 들어가는 것"
"무분별한 정보 속 책읽기는 내가 원하는 세상에 들어가는 것"
  • 한림미디어랩 The H
  • 승인 2022.08.23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춘천시 실레책방 어선숙 대표
사진=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실레마을에 위치한 실레책방의 모습.
사진=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실레마을에 위치한 실레책방의 모습.

한 장, 한 장 책장을 넘기며 다음 페이지에 대한 기대감을 열던 종이책은 전자책(E-BOOK)이 나오면서 화면 터치만으로 넘길 수 있게 됐다. 계획을 세우기 위해 펜과 함께 꺼내던 다이어리는 스마트폰 속 디지털 플래너 앱으로 변했고 날짜가 다가올 때 알림을 자동으로 받아보는 시대가 됐다. 이 모든 것이 아날로그를 넘어 빠르고 편리한 디지털 기술이 중심된 세상의 도래를 알려준다.

터치만으로 순식간에 넘어가는 디지털 책장처럼 세상이 변하고 있지만, 이와중에도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그 자리에 있어야 할 가치를 전하는 공간이 있다. 책방이 그곳이다. 어린 시절, 기자의 어머니는 "책을 많이 읽어야 미래에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다"며, 일주일에 한번씩 조그마한 책방에 데리고 가곤 했다.

어른이라 불리는 나이가 된 지금, 특유의 낡은 냄새가 풍기던 책방의 기억은 여전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그 모습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춘천시 신동면 실레마을에 그 냄새가 오롯이 남아 있는 책방이 있다는 소식에 찾아가 책방 주인과 이야기를 나눴다.

'실레 책방' 주인 어선숙씨가 전하는 디지털시대의 책방의 가치를 담아본다.

"책방 통해 세대 간 소통의 장 마련해보고 싶었다"

춘천시 신동면 실레마을에서 ‘실레책방’을 운영하는 어선숙씨. 사진=김범준 대학생 기자
춘천시 신동면 실레마을에서 ‘실레책방’을 운영하는 어선숙씨. 사진=김범준 대학생 기자

-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2020년부터 약 3년간 춘천 김유정역 부근의 독립서점 실레책방을 운영하고 있는 어선숙이라고 합니다."

- 왜 책방의 이름이 실레책방인가요?

"책방이 내가 사는 지역과 동네의 따뜻함을 사람들에 전하는 연결고리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동네 명칭인 '실레'를 빌려와 이름을 정하게 되었습니다."

- 지역주민을 위해 어떠한 활동을 해왔나요?

"세대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해보고 싶었습니다. 어른들의 옛날 이야기도 듣고, 실레마을에 온 젊은 사람들의 이야기들도 듣고, 나이에 상관없이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보고자 했습니다. 이후 춘천문화재단과 협업해 3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한 연령분포를 가진 이야기모임을 기획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야기 모임에 참여한 분들이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가슴 속 이야기를 꺼내는 과정에서 사람과의 정을 나눌 수 있었다는 점이 좋았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저 역시 누군가에게 행복을 전하는 과정, 마을 공동체에 가치를 전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보람을 느꼈습니다."

마을 사람간의 소통이 장이 되었던 실레책방의 이야기모임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마을 사람간의 소통이 장이 되었던 실레책방의 이야기모임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책방의 가치를 지켜오고 있는 실레책방 내부의 모습
책방의 가치를 지켜오고 있는 실레책방 내부의 모습

여유로움을 주는 곳으로 기억되길

- 실레책방은 디지털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나요?

"디지털 시대에는 원하지 않는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주입받게 됩니다. 가령 지하철에 탑승하면 의지와 상관 없이 스크린 속 기업의 광고들을 보게 됩니다. 또 포털사이트에 들어가면 메인페이지에 다양한 기사가 노출돼 있어 의도하지 않은 정보를 얻게 됩니다.

의도하지 않은 정보 입력량이 쌓이게 된다면, 결국 스스로 통제 가능한 정보량의 범위를 넘어서게 됩니다. 이는 디지털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길을 잃고 방황하는 주된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책방은 폭발적으로 주입되는 정보의 바다에서 쉼이 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이곳에선 스스로 정보를 얻고자 하는 분야의 책을 고른 후 마음에 드는 자리에 앉아 책을 펼치고 자신만의 리듬에 맞춰 책을 읽어나갑니다. 그 과정 속에서 생각의 속도가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고 봅니다."

- 처음부터 지금까지 지켜나가는 실레책방의 가치는 무엇인가요?

"디지털 시대는 항상 '빠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모든 개념을 두 가지로 구분 짓는 양자택일의 이분법적인 답변을 요구하고 있고, 그 안에서 현대인들은 여유로움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방은 여전히 아날로그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천천히 머물며 책을 보는 공간'이라는 본질을 지켜왔기에 빠름을 요구하지 않고 책을 읽을지, 읽지 않을지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도 요구하지 않습니다.

책방은 책을 읽어도 되고, 읽지 않아도 됩니다. 졸아도 되고, 읽는 척을 하며 딴 생각을 해도 괜찮은 공간입니다. 빠름을 강요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여유를 줄 수 있는 공간이라는 가치를 지켜왔습니다."

-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 이런 책방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지금은 종이책방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지만, 문화적 성숙을 이룬 사회가 된다면 종이책의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는다'라는 의미는 결국 내가 원하는 세상에 오롯하게 들어가고 덮는 행위입니다.

후각을 자극하는 책 냄새와 시간이 천천히 흘러가는 듯한 편안한 분위기는 인간이 포기할 수 없는 좋은 시간이라고 생각하기에, 책방은 시대의 흐름 속에서도 유지될 것입니다."

김범준 대학생기자

* "지금의 기사는 <The H 프로젝트> 수업의 결과물로 7월 6일 <오마이뉴스>에 게재된 바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