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와 나] 자신만의 ‘작은 숲’이 필요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
[미디어와 나] 자신만의 ‘작은 숲’이 필요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
  • 한림미디어랩 The H
  • 승인 2021.03.08 0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 리뷰

[미디어와 나]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뉴스작성기초1 수강생들이 수업을 통해 1. 나와 미디어의 관계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가장 좋아하는 미디어 영역의 무엇인가를 소개하고 추천하는 글입니다.

편리하고 살기 좋은 도시에서 치열하게 사는 일상에 익숙해져버린 우리네 삶. 지금의 내가 어떤지보다는 미래의 행복할 나를 생각하며 살아내는 하루가 익숙하기만한 시대다. 이미 곯을 대로 곯아 문드러진 속을 토해낼 본인만의 작은 숲이 있는가? 나를 위한 시간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영화 ‘리틀 포레스트’로 당신을 초대한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1차 포스터. 사진=네이버영화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1차 포스터. 사진=네이버영화

영화는 리메이크작으로 원작은 일본 영화 리트포레스트이다. 하지만 고향으로 돌아온다는 점을 제외하곤 음식부터 등장인물까지 한국식으로 재해석했기에 많은 사람들의 인생영화로 자리잡았다. 영화의 흐름이 급작스럽거나 결정적이고 큰 사건은 없지만 절대 지루하지 않다. 왠지 자꾸 생각이나 다시 보고 또 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불안과 경쟁뿐인 삶, 내가 챙겨먹지 않으면 내것은 단 하나도 없는 사회에 지친 혜원(김태리)은 도망쳤다. 스무살 혜원을 홀로 남겨두고 모두가 떠났던 고향으로. 그곳에서 1년동안 혜원은 나를 사랑하는 법을 배운다. 진짜 나를 위한 삶을 시작하는 혜원과 오랜 친구 재하(류준열), 은숙(진기주)의 특별하지만 누구나 공감하는 평범한 이야기를 담담하게 토해낸다.

혜원의 대사 중에 이런 대사가 있다. “나 배고파서 내려왔어.” 이 대사에 걸맞게 혜원은 정성을 다해 한끼 식사를 챙겨먹는다. 서울살이 편의점 알바를 하며 유통기한이 지난 도시락이나 학원 앞 포장마차에서 사먹는 컵밥으로 끼니를 때우기 일쑤였기에 혜원은 제대로된 따끈한 집밥이 그리웠을 것이다. 가공된 제품을 구하는것보다 원재료를 구하는게 쉬운 시골에서 혜원은 모든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꽁꽁언 밭에서 구한 배춧잎으로 끓여먹는 배추된장국, 직접 만들어 먹는 수제비와 막걸리, 콩국수, 밤조림……. 각 계절에 어울리는 음식을 뚝딱뚝딱 만드는데 영화는 달랑 완성된 음식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과정까지 함께 보여준다. 그 모습을 보고있으면 ‘나도 할수있겠다!’며 벌써 부엌으로 향한 자신에게서 덩달아 소중해진 한끼에 퍽 즐겁다.

음식과 함께 집중해야 하는 것은 바로 소리다. 리틀포레스트는 이렇다할 시그니처뮤직이나 OST, 배경음악이 없는 대신 자연의 소리와 요리과정에서 나는 소리, 음식을 먹는 소리가 영화의 시그니처사운드다. 더운 여름 낮, 선풍기 앞에 앉아 시원한 콩국수 한그릇을 후루룩 먹는 소리, 튀긴 아카시아 꽃의 바삭한 소리, 딱딱하지만 부드러운 크림브륄레까지 소리만으로 배가부른 영화다. 가장 좋았던 소리를 고르라면 집앞 나무그늘에 앉아 토마토 먹는 소리를 고르겠다. 혹시 영화를 보다 한여름 나무그늘아래서 즐기는 그 시원하고 아삭한 소리가 들린다면 이 글을 떠올리길 바란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스틸컷. 사진=네이버영화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스틸컷. 사진=네이버영화

리트포레스트는 1년에 걸쳐 제작된 영화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모습을 모두 생생하게 담기 위해서 각 계절별로 2~3주 정도의 촬영을 진행했다. 경상북도 군위군을 통해 우리나라의 뚜렷한 사계절을 더할나위 없이 담아낸 영상미는 풍성함을 더한다. 봄의 탄생과 여름의 싱그러움, 가을의 헛헛함과 겨울의 따뜻함이 살갗에 닿아 느껴진다.

영화가 주는 전반적인 분위기는 따뜻하다. 화면의 시기가 겨울이라 할지라도 영화는 따뜻하다. 그 이유는 임순례감독에게 있다. 그녀는 동물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다. 2009년부터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의 대표로 열심히 활동중에 있다. 영화에 출연한 모든 동물과 벌레에게 이름을 지어준 것에서 그녀의 남다른 사랑을 확인할 수 있다. 리틀포레스트의 신스틸러 강아지 ‘오구’를 시작으로 달팽이는 ‘달구’, 닭은 ‘에구’, 개구리는 ‘개구’로 지어줬다고 한다. 또한 모든 동물과 벌레를 세심하게 돌봤는데 혜원이 2층에서 송충이를 던지는 장면에서는 떨어지는 장소에 미리 모포를 깔아두고 생사를 확인한 후 풀어줬다고 한다. 작은 생명 하나까지 소중하게 생각하는 감독의 따스함이 고스란히 스크린에 묻어난 것이다.

1년이란 시간동안 혜원은 농작물을 통해 기다리는 법을 배웠고 어릴적 엄마의 편지를 이해했고 생명이 있는 모든 것에서 느껴지는 온기를 느꼈으며 여유로운 분주함이 주는 편안함에 행복했다. 그녀가 처음 고향에 왔을땐 ‘견디지 못하고 도망치듯 떠나왔다.’고 말하지만 이젠 ‘내가 여기로 떠나온게 아니라 돌아왔다.’고 말한다. 영화의 제목 ‘리틀 포레스트’가 주는 의미는 어느 특별한 농촌의 이야기가 아니라 힐링의 공간으로서 자신만의 ‘작은 숲’이 필요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앞으로의 삶을 위해 아주심기 중인 우리에게 나만아는 작은 숲을 선물해보자. 보고만 있어도 절로 미소가 지어지는 영화 리틀 포레스트가 그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윤소정 대학생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