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소통, ‘투명성’ 필요
‘메르스’ 소통, ‘투명성’ 필요
  • 편집장
  • 승인 2015.06.07 0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환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도 정부의 ‘쉬쉬’ 정책을 질타할 정도로 보건복지부의 폐쇄적 대응이 메르스 사태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며 사회적 불안은 더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보건당국의 문제의 행보는 주로 정보 공개 여부와 관련이 된다. 심지어 5일 대한의사협회가 “국민 혼란을 막기 위해 메르스 관련 병원을 공개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으고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하려던 것도 당국의 ‘설득’에 의해 유보됐다는 것이다. 한 병원에서 30명의 확진환자가 나온 평택성모병원 관계자도 정부로부터 “병원측이 언론과 개별적으로 인터뷰하는 것은 자제해 달라”는 주문을 받았단다.

이런 정부의 정보 봉쇄 관리 정책의 정당성을 가장 좋게 해석한다면, 아마 ‘정보가 알려지면서 생길 수 있는 혼란과 피해를 차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가 공개됐을 때는 최악의 경우, 해당 병원만 방문객이 줄어들 수 있지만 이처럼 정부가 “사회적 혼란” 운운하며 기본 정보 제공을 도외시한다면 오히려 아픈 사람들이 병원 자체를 가기를 꺼려하고 병을 키움으로써 국민과 의료업계 일반의 총체적 사회적 비용은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상황에서 최우선 과제는 감염성 질환의 확산 방지, 조기 종결이 아니겠는가. 언론 보도도 마찬가지다. 평택에서 전북 순창으로 버스를 타고 이동한 확진환자의 소식을 전하면서 해당 버스에 탄 승객을 당국이 추적조사하고 있다는 사실만 알리고 해당 버스가 몇시에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한 버스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음으로써 해당 버스의 승객 혹은 그 승객의 지인이 적절한 대처를 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 용역 과제로 작성된 ‘위험소통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미국・캐나다・유럽식품 안전청(EFSA)・세계보건기구(WHO) 등 해외 정부 및 국제기구 11곳의 위험소통 ‘가이드라인(guidelines/guidance)’을 분석한 결과 ‘정직과 개방성’이 가장 빈번하게 제시된 원칙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지난해 5월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을 때, 환자의 동선과 진료 병원, 치료 경과 등 감염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당국은 이제 정보공개의 투명성을 위주로 위험소통의 원칙을 메뉴얼화 해야 한다. 메르스 뿐 아니라 또다른 신종 감염성 질환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진 현대사회에서는 더욱 그러함을 인식하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